Programming

63

윈도우 서버 Memory 사용량

사이트 지원시마다 윈도우 서버 Memory 사용량이 거론되더니 지인이 잘 정리된 Site를 추천해 주는군요. 지금은 별 흥미 없지만, 나중에 필요할때 참고해야겠네요. http://blogs.technet.com/b/sankim/archive/2009/04/15/windows-size.aspx 이상 끝.

Programming/Etc 2011.02.22 Joshua95

인증서 서비스를 설치하는 중 오류 - 0x80070033

인증서 서비스를 설치하는 중 오류 해결 방안 - OS: Windows 2003 Server - 오류 메시지 내용: "인증서 서비스를 구성하는 동안 오류가 검색되었습니다. 인증서 서비스 구성을 완료하려면 인증서 서비스 설치 마법사를 다시 실행해야 합니다. 인증서 서비스 설치가 다음 오류 코드로 실패했습니다. Windows에서 네트워크 경로를 찾을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 경로가 올바른지, 대상 컴퓨터가 사용 중이거나 꺼져 있지 않은지 확인하십시오. 네트워크 경로를 계속 찾을 수 없으면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문의하십시오. 0x80070033 (WIN32: 51)" - 해결 방안: 네트워크 설정 > "Microsoft 네트워크용 파일 및 프린터 공유" 가 Uncheck 되어 있을 경우 위 에러가 발생할 수 있음...

Programming/Etc 2011.02.17 Joshua95

아이나비 시작안됨 문제

설날 귀향하려고 새벽 일찍 나섰는데, 아이나비 내비게이션이 실행이 안되네요. 내비를 행하면 다시 처음 화면으로 가고, 또 시도하면 다시 처음화면으로를 반복. 마침 아이폰의 올레맵을 이용해서 고향에 오긴 했습니다만, 웬지 아쉬워 휴게실에서 내비 회사로 문의를 해 봤습니다. 설 연휴 기간이면 내비게이션 문의가 꽤 많을 듯 한데, 아이나비 고객지원실 전화하니 모두 휴가라서 지원안한다는 멘트만 들려옵니다. ^^; 결국 고향집에서 구글링 해보니, 공식 FAQ가 아닌 사용자가 문의한 후에 올려준 글이 있군요.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내비게이션 자체가 존폐의 위기에 빠질 듯 한데, 내비업체의 이런 안이한 서비스는 그나마 있는 고객들 마저 등 돌리게 하겠군요. 여튼 이번 기회로 아이폰의 올레맵도 받침대 하나만 장만하면 그..

Programming/Etc 2011.02.02 Joshua95

polling과 pulling의 차이

서버 구성을 위해서 얘기를 하다보니,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결과를 받아오는 것을 어떤 사람은 polling 이라고 하고, 어떤 사람은 pulling 이라고 얘기를 하더군요. 어느 용어가 정확한 것인지 궁금하여 찾아보니, 이렇게 정리할 수 있겠군요. * polling 서버에 결과를 주기적으로 요청하는 것. 즉,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질의를 던지고 그 질의에 대한 결과를 서버가 대답해 주는 것 사용자 정의된 프로토콜을 이용한 서버, 클라이언트가 여기에 대부분 속하겠네요. * pulling 서버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가져가는 것. 즉,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데이터를 알아서 가져가는 것. 클라이언트에서 Database 직접 쿼리해서 받아가는 경우가 대표적이겠네요. 결국 저희 회의에서 사용될 바른..

Programming/Code 2011.01.14 Joshua95

LNK2005: already defined in LIBCMT.lib(new.obj)

에러 내용: error LNK2005: already defined in LIBCMT.lib(new.obj) 현상 : MFC 라이브러리를 static하게 링킹할때 오류 발생 오류 : nafxcw.lib(afxmem.obj) : error LNK2005: "void * __cdecl operator new(unsigned int)" (??2@YAPAXI@Z) already defined in LIBCMT.lib(new.obj) 해결 방법 : 라이브러리를 올바른 순서로 강제링킹하도록 설정한다. * 아래 방법은 VS 6.0 기준입니다. VS 2008은 약간 명칭이 다름! 1. Project 메뉴에서 Settings을 눌러 Project Settings 대화 상자를 엽니다. 2. Settings For 뷰에서 ..

Programming/Code 2011.01.04 Joshua95

파일의 크기와 디스크 할당 크기의 차이

* 파일의 크기와 디스크 할당 크기의 차이 크기: 파일의 실제 크기 디스크 할당 크기: 파일 저장되기 위하여 사용된 전체 크기 (슬랙 포함) 클러스터: 파일 저장되는 단위 슬랙(Slack) : 디스크 클러스터 중 사용되지 않은 공간 XP 클러스터 정보: 기본(4KB), 최대(64KB) * 디스크 공간 vs. 처리 속도 클러스터 값을 작게 하면 하드 디스크 공간 사용이 좋아지고, 크게 하면 디스크 처리 속도가 빨라지게 됨. * 관련 command > format /? - 2010.12.20 Joshua95

Programming/Code 2010.12.20 Joshua95

파일/폴더 존재 여부 파악하기

* 파일 / 폴더 존재 여부 파악하기 어떻게 확인하면 가장 빠르게 파일/폴더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까? 1) 가능한 파일을 안 열어보고 알 수 있어야 하고, 2) 경로는 전체 경로를 알고 있어서 곧바로 접근 가능하며, 3) 불필요한 index 파일 없이 빠르게 접근하는 방법을 고민 중이다. 일단 원하는 파일의 이름은 언제든 전체 경로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가정하에 가장 빠르게 해당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면, FindFile 등을 이용한 불필요한 디렉토리 검색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불필요하게 폴더 구조를 저장할 정보 파일을 만들 필요 없을 터이니 이를 해결하고자 이래저래 방법을 찾아 테스트를 해 본다. // 1) CreateFile 사용 // 1) 폴더 검사 HANDLE hFolderFi..

Programming/Code 2010.12.09 1 Joshua95